티스토리 뷰
항암성분이 풍부하고 당뇨병에도 좋다는 차가버섯을 드시거나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희 아버지도 당뇨병을 앓고 계셔서 차가버섯을 복용했던 적이 있었는데 차가버섯의 유용한 성분을 제대로 섭취하기 위해서는 차가버섯보관법과 복용법을 제대로 알고 먹어야 하더군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효과적인 차가버섯의 효능을 얻기위해 알아둬야할 올바른 보관법 및 먹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차가버섯의 효능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는 식품이지만 다루기 까다로워 자칫하면 곰팡이가 생기거나 영양성분이 변질되기 쉽고 열에도 약해 낮은온도에서 우려내야하는 등 신경쓰지 않으면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제부터 차가버섯 보관법 및 복용법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차가버섯보관법 (기본적인 보관법, 형태별 보관법)
차가버섯은 열과 습기에 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통풍이 잘되는 건조하고 서늘한 장소에서 보관해야하며, 직사광선이나 고온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영양소파괴를 줄일 수 있는 보관방법입니다.
차가버섯을 냉장고에 보관하는 경우도 있는데 차가버섯의 특성상 습도에 약하기 때문에 냉장고 보관법보다는 통풍이 잘되는 서늘한 실온에 두는 것이 좋을 수 있다고 합니다.
차가버섯덩어리
채취한 차가버섯을 가공하지 않고 덩어리 상태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주먹정도의 크기로 잘라 건조시켜 서늘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해야합니다.
차가버섯의 유용한 성분들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건조시킬 때도 60도 이하에서 건조시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대로 건조되지 않거나 보관이 잘 못될 경우 곰팡이가 피거나 표면이 부스러지고 영양성분들이 산화되어 약효가 떨어집니다.
올바른 차가버섯보관법을 지킨 경우 유통기간을 2년정도라고 합니다.
차가버섯가루
차가버섯 덩어리를 갈아서 가루형태로 만든 경우 용기에 담아 보관하기도 용이하고, 액체류에 타서 먹기 쉽기 때문에 많은 가루형태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기에 노출되어 쉽게 영양성분이 산화되기 때문에 유통기간이 6개월정도로 짧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적은 양으로 소분해서 습도나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시켜 보관하시고 가급적 빠르게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차가버섯 추출분말
차가버섯을 동결진공건조 방식등을 사용해서 좋은 성분을 가공 추출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합니다.
아무래도 가공을 통해 유효성분을 추출한 방식이기 때문에 가루나 덩어리보다 유통기간도 길고, 보관에 있어서 안정성이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높은 온도를 피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하는 것은 위의 형태 제품과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차가버섯 복용법
차가 버섯은 면역력과 항암에 효과가 좋다는 베타글루칸, 폴리포놀등 좋은 성분들이 많이 들어가 있지만 단단하고 열에 약하기 때문에 영양소를 제대로 섭취하기 쉽지 않습니다. 차가 버섯은 주로 물에 우려서 먹는데 영양소를 제대로 섭취하여 효능을 얻기 위해서는 60도 이하의 온도에서 오랜시간동안 추출해야 합니다.
영양 성분이 잘 우러날 수 있도록 차가버섯을 잘게 자른 후 물을 한번 팔팔 끓였다 60도 이하로 미지근하게 식힌 물에 1~2일정도 우려냅니다. 이때 영양성분을 더 잘 추출하기 위해서 5~6시간 버섯을 불린 후 버섯을 믹서등에 잘게 분쇄해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버섯을 걸러 우린 물만 냉장보관하여 3일 이내에 드시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차가버섯보관법 및 복용법에 대해 정리해드렸습니다.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잘못 보관하거나 복용할 경우 제대로 된 효능을 보지 못하거나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가버섯의 경우도 제대로 효능을 보기 위해 잘 보관하는 방법 및 복용법을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황과 울금의 차이 정확히 아시나요? (0) | 2016.12.21 |
---|---|
들깨가루보관법 및 먹는법 숙지하시면 좋아요!! (0) | 2016.12.20 |
미강먹는법과 미강가루효능 정보입니다. (0) | 2016.12.02 |
팥찜질팩효능 및 팥찜질팩만들기 (0) | 2016.11.28 |
톳가루, 톳 효능 확인해보세요!! (0) | 2016.11.15 |